본문 바로가기

바보상자 보기/엔터테인먼트

'위대한탄생2' 정서경을 변화시킨 윤일상의 멘토링




프로그램 편집을 발로 하나? '위대한 탄생'은 경쟁에서 살아 남아 우승을 차지할 참가자가 아니라 발로 편집해도 방송국에서 거뜬히 버텨내는 제작진들이 되어야 할 것이다. 꿋꿋하게 프로그램을 통째 걸레로 만드는 그 희한한 일관성 하나는 높게 평가할 만하다. '생활의 달인'에 필히 소개되어야 할 발편집의 달인들이다.

심사자들의 점수가 다 공개되어 이미 두 명이 동점이라는 걸 알겠는데도 '의외의 결과?'라는 같잖은 자막을 넣어 쓸데없이 시간을 끌지를 않나, 공개된 개개 심사자들의 점수를 합산하지 못 해서 수작업으로 엑셀에 일일이 숫자 입력해서 더해 보느라 그러는지 몰라도 총점 발표한다고 시간 질질 끌며 짜증을 돋우는 장면이야말로 발편집의 절정일 것이다.

공중파를 이용하는 방송사일 경우 수준 낮은 제작진들을 시청자가 추방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제작진들이 편집이라는 가당찮은 것을 무기로 시청자를 무시하고 우롱하는 오만한 태도는 도가 지나쳐도 한참 지나치다.

이번 주에는 생방송에 진출할 최종 2인을 결정하는 '패자부활전'이다보니 참가자들 모두가 상당히 긴장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인지 멘토 스쿨을 통해 눈에 띄게 실력이 향상되었다고 여겨지는 참가자들이 제대로 실력발휘를 못한 것 같아 아쉽다.

오디션 프로그램의 특성이겠으나 그 한 무대로 당락이 결정되어지다 보니 때로는 최상의 선택이 아닐 경우도 왕왕 생기기 마련이다. 이쯤 되면 시청자들도 특정 참가자를 응원하는 경우가 많은데 응원하던 참가자가 탈락했다고 그 불만을 합격한 다른 사람을 비난하는 것으로 돌릴 필요는 없을 것이다. 시즌1에서처럼 악순환이 되풀이되는 것은 음악의 소비자인 시청자에게도 득은 없을 테니까 말이다.

 


'패자 부활전'은 프로그램이 멘토 스쿨을 끝내고 공개 오디션 시스템으로 넘어가는 전단계여서 멘토들을 눈여겨 보게 되었다. 멘토 스쿨을 끝내고 프로그램 초반의 공개 오디션과는 또 다른 의미를 갖는 공개 오디션 시스템에서의 평가 기준을 엿보기 위해서였다.

본격적으로 생방송에 들어가 봐야 되겠으나 현재로서는 시즌1에 비하면 안정적이라 본다. 하나 좀 더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기준을 정립할 필요성이 있을 것 같다. 심사자의 평가가 형평을 잃거나 개인적 감정이 포함된다면 시청자들의 비난도 커질 것이고 결국 시즌1에서의 악순환을 그대로 답습하게 될 것이다.

5인의 멘토가 선택한 최종 2인은 정서경과 홍동균이었다. 보는 사람에 따라 의견이 갈릴 수도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겠는데 물론 탈락이 안타까운 참가자도 있었으나 '패자부활전'의 무대로만 평가한다면 크게 트집 잡을 만한 결과는 아니었다고 생각된다. 발편집의 달인들이 그동안 발편집을 통해 밀고 싶었던 방송용 그림은 저스틴김이 생방송에 진출하는 것이었다고 짐작되는데 발편집의 달인들이니만큼 저스틴김은 어떻게든 방송용으로 써먹지 않을까 싶다.

'패자 부활전'에서 보인 정서경의 변화는 괄목할 만하다고 느낄 정도로 여러가지 면에서 실력이 상당히 늘어서 놀랍기만 하다. 정서경의 목소리는 개인차는 있겠으나 확실히 매력적인 요소를 갖고 있다. 한데 매력을 발산할 수 있는 음역대가 지나치게 한정되어 있고 노래 실력이 형편없이 부족하다. 불안한 호흡이 목소리의 매력을 감쇄시켜 노래에 빠져들기보다 금새 거슬리게 된다는 것이 치명적인 단점이라 보았다.

윤일상이 정서경을 멘티로 지명했을 때는 상당히 의아했던 것이 사실이다. 불안한 음정이나 호흡은 훈련을 통해서 어떻게 해결할 수 있다고 치더라도 한정된 음역대는 단기간에 해소되기가 어려울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특화된 가수로 키울 의도라면 몰라도 오디션 프로그램의 생방송에 진출할 후보자를 선택하는데 다소 형평을 잃은 선택인 것으로 보였다. 한데 '패자 부활전'에 나온 정서경은 놀라울만큼 이런 부분들이 그 이전과 비교하면 상당히 발전했다.

 

 


윤일상의 멘토링은 간명하다. "마음을 움직여라." 다른 멘토들의 멘토링도 다른 듯하지만 결국엔 마음을 움직여라고 모아진다고 봐도 틀리지 않다. 천박한 표현이기는 하나 프로 가수는 결국 음악 소비자의 지갑을 열게 해야 하는데 그러려면 먼저 마음을 움직여야 한다. 자기의 노래를 듣는 사람이 위안이나 희망을 얻게 하겠다는 등의 형이상학적인 수사(修辭)는 그 다음 차원의 문제일 것이다.

윤일상의 '마음을 움직여라'라는 멘토링은 멘티 스스로가 한계를 깨는 것에 집중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가슴 속에 깊숙히 품고 있는 아픔을 털어내고 그러한 감정의 깊이를 노래에 담아 부르는 것'을 멘티들에게 주문한 것은 이러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노래하는 가수가 자신의 한계를 깨지 못하고 감정을 억누르고 있다면 듣는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기는 불가능할지도 모를 일이다. 그런 후에 노랫말과 곡조를 잘 이해하고 그것을 자기 것으로 소화해서 들려줄 수 있다면 최상일 것이다.

윤일상의 멘토링의 가장 큰 수혜자가 또 정서경이었던 것 같다. 한계를 깨고 감정을 토해낸다고 해서 과연 내지 못하던 음을 낼 수 있을까 회의적이었는데 예상 외로 상당 부분 해소되었다는 것이 놀랍다. 방송용 화면으로만 보는 것과의 차이점은 있을 수 있겠으나 프로듀서가 문제점을 진단하는 것이 시청자보다는 확실히 더 인간적이고 적확한 것 같다.

그러고 보면 시청자가 오디션 프로그램 심사자들보다는 훨씬 더 냉정한 듯하다. 시청자야 그저 음악을 소비할 것인지의 여부만 결정하면 되는 것이고 일단 마음에 차지 않으면 소비하지 않는 걸로 끝내고 기회를 안 줘도 상관이 없으니까 말이다. 오디션 프로그램의 경쟁구도보다는 프로가수가 된 이후부터의 경쟁이 더 냉정하고 치열한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정서경이 생방송에서 얼마나 더 버틸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회의적이다. 물론 이 프로그램을 떠나 특화된 가수로서의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듣는 내내 우울의 강을 허우적거리고 있었다'는 이승환의 평가처럼 정서경에겐 빠져들게 하는 매력이 있다. 또한 '패자 부활전'에서 보여준 것처럼 소화할 수 있는 음역대를 넓힐 수 있다면 의외로 괜찮은 가수가 될 거라고 본다. 정말 가능성이 없을 것 같았던 정서경을 놀랍게 변화시켜 놓은 최고의 프로듀서 윤일상의 후원도 이런 기대감을 높이게 된다.